|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(세부전공 : 조직구조론, 지방자치이론, 법정책학)
| 학회활동 : 한국행정학회 이사, 한국정책학회 부회장, 서울행정학회 부회장, 한국조직학회 이사, 국가위기관리학회 부회장
| 2024 산림청 정책자문위원
| 2024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 직무급 점검위원
| 2024 행정안전부 책임운영기관 운영성과평가위원 (팀장)
| 2024 보건복지부 기타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
| 2024 교육부 기타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 (팀장)
| 2023 보건복지부 기타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
| 2023 한국등산트레킹센터 외부이사
| 2021 기획재정부 국가채권관리협의체 외부위원
| 2020 국민권익위원회 반부패규범자문단 자문위원
| 2018 식품의약품안전처 정책자문위원
| 2019 식품의약품안전처 자체평가위원
| 2023, 2021~2019 지방공기업평가단 경영평가위원 (팀장, 평가위원)
| 2017 부산광역시 정책자문위원
| 2015 국립수산과학원 책임운영기관 자체평가위원, 평가위원장
| 2015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자문위원
| 2014 제7차 아시아안전도시 연차대회 조직위원
| 2014 부산광역시 시정경영진단 자문위원 (조직인사 분야)
| 2014 사회복지법인 청광 외부이사
| 2014, 2012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단 위원
| 2013 안전행정부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컨설팅단 위원
| 2012 부산광역시의회 의정자문위원 (예산결산특별위원회)
| 2012 균형발전지방분권 부산시민사회연대 정책위원
| 2008 한국행정연구원 혁신조직센터 부연구위원
| 조직이론
| 조직진단과 설계
| 경영전략 및 성과관리
| 지방자치 이론
| 재난 및 위기관리 이론
| 법정책학
| 행정학개론
| 행정조직론
| 지방자치론
| 정책커뮤니케이션
| 공공정책과 법
| 정책수단론
□ 학술저서
| 2025, 행정학학습 (대영문화사: 공저)
| 2017, 주요국의 성과관리제도 (법문사: 공저)
| 2015, 근린자치제도론 (박영사 : 공저)
| 2014, 지방자치의 쟁점 (법문사: 공저)
| 2011, 사회서비스정책론 (나눔의 집: 공저)
| 2010, Local Autonomy and Local Bureaucrats in『Bureaucracy and Bureaucrats in Japanese and Korean Civil Society (Tokyo Japan: Bokutakusha Publisher: 공저)
| 2009, 국가위기관리 : 이론과 실제 (법문사: 책임편집)
| 2009,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(법문사: 공저)
| 2009, 지방행정체제개편론 (법문사: 공저)
| 2009, 국가 위기관리 입법론 연구 (법문사: 공편)
□ 학술논문
| 2024, 산림재난의 제도적 개념화에 관한 연구. 『한국사회와행정연구』35(3)137-165: 서울행정학회.
| 2024,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의 난제: 고리원전부지 내 건식저장시설건설 갈등영향분석. 『지방정부연구』27(4)313-338: 한국지방정부학회.
| 2022, 상급기관의 직무 개입이 공공기관 조직원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. 『한국인사행정학회보』21(3)63-83: 한국인사행정학회.
| 2022, 청년사회서비스사업의 운영실태와 개선과제 사업관계자 FGI와 설문조사 중심의 고찰. 『한국사회복지행정학』24(3)97-125: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.
| 2021,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의 실태와 쟁점: 사업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고찰.『노동정책연구』21(3)142-172: 한국노동연구원.
| 2021,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지표 개발 및 평가 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: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한 수원도시공사 지표개발.『지방정부연구』24(4)417-442: 한국지방정부학회.
| 2020, 권리, 제도, 주권: 지방자치에서 자치권의 본질에 대한 연구. 한국행정학보 54(4): 297-322: 한국행정학회.
| 2020,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데이터기반 행정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: 자치구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토대로.『지방정부연구』23(4)445-464: 한국지방정부학회.
| 2020,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Risk Management of Sunken Ships.『Crisisonomy』16(2): 123-138.
| 2018, 시민의 안전행동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.『Crisisonomy』14(9).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.
| 2017, 보건복지부 조직의 분할 가능성: 제기된 대안의 평가와 전망.『한국조직학회보』14(4). 한국조직학회.
| 2017,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정책에 대한 연구.『지방행정연구』31(2). 한국지방행정연구원.
| 2017, 지도를 활용한 안전관리 접근에 관한 연구: 공간안전정보의 요소와 특징.『한국위기관리논집』13(2).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.
| 2015, 시민의 안전행동 동인으로서 안전욕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: Maslow의 욕구이론을 토대로.『한국위기관리논집』11(6).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.
| 2015, 손상자료 분석을 통한 근거기반의 부산광역시 교통안전 프로그램 개발 연구.『인문사회과학연구』16(2).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.
| 2014, 고용지원서비스의 효율적인 고용서비스망 조직구축방안: AHP 분석방법을 통한 고용지원서비스의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.『한국조직학회보』11(3). 한국조직학회.
| 2014, 선박에서의 위험ㆍ유해물질(HNS) 유출 방제를 위한 해양환경관리법제 정비방안 연구.『한국위기관리논집』10(12).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.
| 2014, 지방자치단체의 다층적 규제 개혁에 대한 연구 :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을 중심으로. 『한국사회와행정연구』24(4). 서울행정학회.
| 2013, 주민자치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: 부산광역시 4개 동주민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.『한국사회와행정연구』24(2). 서울행정학회.
| 2013, 지역사회 조사시 환경의 객관적 수준에 대한 지역주민의 주관적 인식간 격차에 대한 연구 : 부산광역시 3개 동주민센터를 중심으로.『한국공공관리학보』27(2). 한국공공관리학회.
| 2012,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평생학습도시에 대한 연구: 교육과 자치의 조화 관점에서 본 성과와 한계.『한국정책과학학회보』16(4). 한국정책과학학회.
| 2012, 지역주민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 인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-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.『한국위기관리논집』8(3).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.
| 2012, 지방정부의 가치지향으로서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.『한국행정학보』46(1). 한국행정학회.
| 2012, 국내 공동체(커뮤니티) 연구에 대한 종합적 메타분석과 행정학에 대한 함의. 『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』22(4). 서울행정학회.
| 2011,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별 행정기구 변화에 대한 연구: 행정수요와 지방자치제도 변화의 영향을 중심으로.『지방행정연구』25(3). 지방행정연구원.
| 2011, 지방자치단체장 당선자 연구모형 수립에 대한 연구.『한국비교정부학회보』15(2). 한국비교정부학회.
| 2010, 불확실성 하에서 재난관리의 보편성과 특수성간 상호제약에 대한 연구 : 숭례문 소실 사례를 중심으로. 『한국위기관리논집』6(3).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.
| 2010, 행정기구변화에 따른 행정기능과 업무수행의 변화 연구: 부산광역시교육청 혁신기획팀의 설치와 폐지를 사례로. 『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』21(3). 서울행정학회.
| 2009,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서 분권형 정부간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. 『한국거버넌스학회보』16(2). 한국거버넌스학회.
| 2009, 한국의 무선인터넷콘텐츠 공동규제 사례연구. 『한국사회와행정연구』20(2). 서울행정학회.
| 2008, 교육훈련을 통한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 담당공무원의 역량강화방안 연구: Rothman의 지역사회개발모형(CDM)을 토대로. 『한국지방자치학회보』20(3). 한국지방자치학회.
| 2008,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방자치단체 복지행정기구의 변화에 대한 연구 :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. 『한국행정학보』42(2). 한국행정학회.
| 2008,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평가: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성원칙을 중심으로. 『한국거버넌스학회보』15(1). 한국거버넌스학회.
| 2008, 사회복지서비스 수요변화와 지방정부의 대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: 기초자치단체의 조직과 예산대응을 중심으로. 『한국지방자치학회보』20(1). 한국지방자치학회.
| 2007, 한국 자율규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: 자율규제 유형화를 중심으로. 『한국공공관리학보』21(4). 한국공공관리학회.
| 2007, 가격유인을 활용한 폐기물 감량화 정책효과. 『한국정책학보』16(4).한국정책학회.
| 2007, 쓰레기종량제 정책효과 : 광역시도를 중심으로. 『한국행정학보』41(1). 한국행정학회.
| 2007,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자율규제방안에 관한 연구. 『한국행정연구』15(4). 한국행정연구원.
□ 정부 및 공공기관 조직 컨설팅
| 2024, 법원행정처, 합리적인 법원 신설 및 통합 기준 등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4, 산림청, 2024년 산림 행정·정책 전문가 네트워크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4, 한·아프리카재단, 한아프리카재단 조직 진단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4, 식품의약품안전처, 의료제품 심사 신뢰도 제고 방안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3, 화학물질안전원, 화학물질안전원 조직 재설계 및 성과지표 개발, 공동연구원
| 2023, 세외수입 징수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3, 질병관리청, 국립검역소 조직진단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3, 산림청, 미래시계 확장을 위한 산림청 본청 조직진단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2, 김제시의회, 김제시의회사무처 조직진단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2, 한국도로공사, 민간 성장을 뒷받침하는 일자리 전략 수립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2, 체육진흥공단, 체육진흥투표권 위탁운영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2, 질병관리청, 감염병 위기 대응 거버넌스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2, 조세재정연구원, 농림ㆍ해양분야 공공기관 조직진단, 공동연구원
| 2022, 산림청, 산림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정비 방안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2, 외교부, 해외 사건사고 영사조력 DB 구축 및 사건사고 예방ㆍ대응 역량 강화 정책연구, 공동연구원
| 2022, 대구환경공단, 대구환경공단 조직진단, 공동연구원
| 2022, 국민연금공단, 경영환경 분석 및 조직문화 변화전략 수립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1, 한국도로공사, 한국도로공사 조직문화 진단, 공동연구원
| 2021, 보건복지부, 청년사회서비스사업 적합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1, 국토교통부, 토지보상 위탁업무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1, 국민연금공단, 조직ㆍ인력운영 자율혁신 강화를 위한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0,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, 조직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0, 식품의약품안전처, 허가심사 운영체계 개편 및 정책연구 기반 마련에 관한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0, 행정안전부, 재외공관 조직진단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0, 한국공무원연금공단, 언택트(Untact) 시대 공무원 복지 패러다임과 유형, 공동연구원
| 2020, 국토교통부, 국토교통 분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직공무원 도입방안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0, 한국고용정보원, 고령자 일자리사업 개선방안, 공동연구원
| 2020, 환경부, 환경권 보장을 위한 환경정책 실행계획 마련 연구, 공동연구원
| 2019, 한국보건산업진흥원, 조직진단 및 조직 발전 방안 연구, 책임연구원
| 2019, 행정안전부, 재외공관 조직진단 연구(아시아 지역), 공동연구원
| 2019, 한국도로공사, 상시 조직진단체계 구축 및 조직 역량강화 연구, 공동연구원
| 2019, 지방공기업평가원, 속초시설공단 경영컨설팅, 공동연구원
□ 지방자치 분야 정책연구
| 2022, 지방공기업평가원,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지방공기업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2, 대구시의회, 교육경비보조금 지원 사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2, 광주전남연구원, 광주전남 행정통합 및 경제통합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1, 지방공기업평가원, 지방공기업 관련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, 책임연구원
| 2021,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, 주민자치: 부산시민을 위한 주민자치 안내서, 집필위원
| 2020, 부산연구원, 부산형 읍면동 주민(행정복지)센터 기능 발굴 및 대표모델 정립방안, 연구자문 및 집필위원
| 2021, 서울대학교, 구성주의 관점과 커뮤니티 웰빙: City of Sydney의 커뮤니티 웰빙 사례, 집필위원
□ 기타 정책연구
| 2024, 새마을재단, 새마을시범사업(ODA) 사후평가(베트남 남부), 책임연구원
| 2024, 기획재정부, 국가채권 관리사무 성과평가, 공동연구원
| 2023, 새마을재단, 새마을시범사업(ODA) 사후평가(베트남 남부), 책임연구원
| 2023, 국민통합위원회, 국민통합ㆍ갈등완화를 위한 주요이슈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3, 기획재정부, 국가채권 관리사무 성과평가, 공동연구원
| 2022, KDI, 규제사후영향평가를 위한 주요국 사례연구(호주), 책임연구원
| 2022, 기획재정부, 국가채권 관리사무 성과평가, 공동연구원
| 2021, 국립수산과학원, 국립수산과학원 R&D 성과 심층분석, 책임연구원
| 2021, 기획재정부, 국가채권관리 운영 성과평가 연구, 공동연구원
| 2020, 국립수산과학원, 수산시험연구사업 성과분석, 공동연구원
|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관(C25) 921호
| 주소 : (48513)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(대연동)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행정복지학부
| 전화번호 : 051-629-5461